공부

주식 -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CB)

띠용쓰2222 2023. 8. 2. 00:51
반응형
1. 사이드카

 

사이드카(sidecar)는 증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요소이다.

선물 시장 급등락에 따른 현물시장 혼란을 막을 때 발동된다

 

사이드카 발동시에는 주식시장 매매호가 효력이 5분간 정지된다.

 

 

발동 요건

가장 많이 거래되는 선물상품 가격이

- (코스피) 전일 종가에 대비해 5%이상 등락가가 1분 이상 계속될 때

- (코스닥) 전일 종가 대비 6%이상 등락가가 1분 이상 지속될 때

 

**참고**

KOSPI지수 : 1980년 1월 4일 시가총액을 100으로 함

KOSPI200지수 : 1990년 1월 3일 기준 200개 대형기업의 시가총액을 100으로 함

 

 

사이드카는 발동 5분 후 자동 해제된다.

 

사이드카는 1일 1회에 한해서만 발동 가능하고

주식시장 매매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다.

 

 

2. 서킷브레이커

(Circuit Breaker = CB)

서킷브레이커 제도는 1987년 10월 뉴욕 증시가 대폭락한 '블랙 먼데이'이후 주식시장 붕괴를 막기 위해 처음으로 도입된 제도이다.

 

 

** 블랙먼데이**

1987년 10월 19일 "블랙먼데이"

하루만에 다우존스가 1738까지 22.6%(508포인트) 하락했다.

이정도는 요즘 하루 2400포인트 하락과 비슷하고, 이 때 S&P500은 20.4% 하락했다.

 

투자자에게 냉정함을 찾을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자는 취지에서 만들어진 제도이다.

1989년 10월에 뉴욕증시 폭락을 소규모로 막아낸 뒤 효과를 인정받아서 세계 각국에서 이를 도입하고 시행중이다.

 

한국에서는 1998년 12월 7일부터 국내주식 가격제한폭이 상하 15%로 확대되며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도입되었다.

 

서킷브레이커의 발동 요건은 1~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는 코스피·코스닥 지수가 전날 대비 8%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 간 지속돼야 한다.
2단계는 양 지수가 전날 대비 15% 이상 하락하고 1단계 발동 시점 대비 1% 이상 추가 하락한 상태가 1분 간 지속돼 야 한다.
3단계는 양 지수가 전날과 비교해 20% 이상 하락하고 2단계 발동 시점 대비 1% 이상 추가 하락한 상태가 1분 간 지속돼야 한다.

1·2단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면 주식시장과 관련 파생상품시장에서 20분 간 매매거래가 정지된다. 신규·정정호가의 접수가 불가능하지만, 취소호가는 가능하다. 거래 재개 시 10분 간 단일가 매매가 이뤄진다.
3단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면 당일 장이 종료된다. 이때는 취소호가를 포함한 모든 호가의 접수가 불가능하다.

서킷브레이커는 단계별로 1일 1회에 한해 발동된다. 1·2단계 서킷브레이커는 오후 2시50분 이후 발동되지 않으며, 3단계는 오후 3시20분 이후에는 발동되지 않는다.

서킷브레이커 제도는 지난 1998년 12월7일 코스피 시장에 먼저 도입된 뒤 2001년 10월15일 코스닥 시장에도 도입됐다.사이드카는 급등해도 발동되지만 서킷브레이커는 급락할 때만 발동된다.

뉴스원; 코로나19 공포에 발동 잦아진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뭔가요?

 

 

(사례)

2016년 2월 12일 오전 11시 55분 코스닥지수가 8%넘게 폭락하면서 서킷브레이커 발동한 바 있다.

-폭락원인 : 개성공단 가동 중단 & 남측 인원 추방 조치로 지정학적 리스크 +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증시의 도미노 하락

- 이 날 코스닥지수는 전 일보다 39.24포인트(6.06%) 떨어진 608.45로 장마감.

서킷브레이커 발동은 역대 7번째임 이게

2011년 8/8 - 9 이후 처음

 

(사례2)

2020년 3월 13일 오전 9시 4분 코스닥지수가 -8.31%가 폭락, 오전 10시 45분 코스피 지수가 -8.14% 폭락하여 서킷브레이커 발동한 바 있다.

원인은 유가폭락,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둔화, 전일 유럽 및 미국 증시 폭락 등이 있다. 특히 코스피와 코스닥이 같은 날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된 것은 한국 증시 역사상 최초이다. 같은 날 사이드카도 모두 발동되었다.

 

이어 동월 19일 오후 12시 5분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 모두 8% 이상 상폭락하여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었다. 원인은 달러품귀현상으로 인한 환율 급락, 통화스와프에 대한 불확실성, 반대매매의 증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