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신종채권에 대한 이해 : 주가연동 옵션부 채권 (CB, BW, EB)

띠용쓰2222 2023. 8. 3. 17:54
반응형
전환사채(CB)

CB는 Convertible Bond의 약자입니다.

채권을 일정한 수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채권을 의미합니다.

발행기업의 주식으로 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재무구조 개선효과가 있습니다. 전환권 행사 시에 신주 발행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 주주 지분의 희석 효과를 고려하면 전환권의 가치는 일반 스탁옵션의 가치보다는 낮아야 합니다.

더불어 이 전환권의 첨부로 인해 장기 저리자금의 조달이 가능해 중소기업이 많이 발행하는 추세입니다.

전환가격 = 기준가 X (1+전환프리미엄)
전환비율 = 전환사채 1좌 당 수령가능 주식수

 

신주인수권부사채(BW)

BW는 Bond with Warrant의 약자입니다.

채권 발행 시 정해진 조건에 따라 신주를 발행해줄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인 일종의 주식매수 청구권이 부여된 채권입니다.

이 때 신주를 발행해 줄 것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Warrant이고, 주가 상승 시에 미리 정해 놓은 가격에 워런트를 행사하여 높은 Capital Gain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주식매수청구권이 부여되었기 때문에 일반 채권에 비해 저리로 자금 조달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회사 청산 시에 보통주주에 비하여 우선순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구분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
권리 신주를 인수할 권리 신주로 전환할 권리
취득 한도 사채금액 내 사채금액과 동일한 금액
주식대금 납입 주금의 납입 사채금액과 대체
권리행사시 사채권 존속 여부 사채권 존속 사채권 소멸
권리행사시 재무구조 변화 자본금 증가 & 자본잉여금 증가 부채 감소 & 자본금, 자본잉여금 증가

 

Refixing 조항

전환권 또는 신주인수권의 행사 가격을 주가 하락 시에 재조정하는 조항으로, 대부분 이 조건을 포함하여 채권을 발행합니다. 그러나 주가 상승 시에는 조정하지 않습니다.

이 리픽싱 조항으로 인해 희석효과가 더 심해질 수있으므로, 기존 주주와의 이해 충돌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CB를 발행한 기업에 투자할 때에는 주가가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CB발행이 많은 주식에 투자할 때에는 반드시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리픽싱 조항이 있는 이유는 위에서 언급했듯 재무구조가 부실하거나 시작 단계에 있는 기업이 주로 CB, BW를 발행하기 때문에 투자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서입니다.

요즘에는 CB가 악용되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CB에 대해 잘 이해하고 투자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4/0000083643?cds=news_edit 

 

‘CB’만 언급되면 급락…금감원 칼 뺐다

개미 등치는 사모전환사채 기업 사냥꾼 3명이 허위 사실로 주가를 띄우기로 공모했다. 이들은 A사 전환사채(CB·Convertible Bond)를 미리 보유해놨다. 그리고 A사가 개발한 신약이 임상시험을 통과한

n.news.naver.com

 

 

교환사채(EB)

EB는 Exchangeable Bond의 약자입니다.

발행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증권으로 교환청구 권리가 부여된 채권입니다.

권리를 행사할 경우 발행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증권으로 교환청구되어 사채권이 소멸되고, 사전에 정한 조건으로 보유유가증권과 교환되므로 부채가 감소하고 동시에 자산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구분 교환사채(EB) 전환사채(CB)
발행회사의 요건 주권상장 법인 주권상장법인 or 비상장법인
권리 교환권 전환권
대상유가증권 발행회사가 소유한 "타 상장유가증권" 발행회사 주식
권리행사시 재무구조 변화 부채 감소, 비유동자산 감소 부채 감소, 자본금 증가
권리행사후 사채권자 지위 사채권자의 지위상실
타회사 주식의 주주
사채권자의 지위상실
발행회사 주주의 지위
주식의 취득가격 교환가격 전환가격

 

오페라본드(OPERA Bond)

오페라본드는 Out Performance Equity Redeemable in Any Asset의 약자입니다.

교환사채의 발행자가 2개 이상의 주식을 담보로 채권을 발행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채권인수자가 채권발행자에게 해당 기초자산이 된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으로, 교환대상 주식의 종류가 2개 이상인 경우를 오페라본드라고 합니다.

 

 

총정리
구분 CB BW EB
발행회사 상장 또는 등록법인 상장 또는 등록법인 상장법인
대상주식 발행회사 신주 발행회사 신주 발행회사 소유 타 상장법인 주식
또는 자사주가 아닌 발행주식
신주발행가액 전환가격 신주인수권 행사가격 교환가격
신주발행가액 총액 사채금액 사채금액 범위 내 사채금액
신주납입금 사채금액으로 다체 현금
사채금액으로 대용가능
사채금액으로 대체
권리 전환권 분리 불가 신주인수권 분리 가능 교환권 분리 불가능
권리행사후 재무구조 변화 부채 감소, 자본 증가 현금납 : 자본금, 자산 증가
대용납 : 부채 감소, 자본 증가
부채 감소, 자산 감소
사채권자 지위 사채권자의 지위상실
주주 전환
사채권자 및 주주 지위 사채권자의 지위상실
타회사 주식의 주주
우선인수권 있음 있음 없음